탁구 기술 - 쇼트(short)
오늘은 탁구의 기술중 쇼트에 대해 알아볼겠습니다. 쇼트에도 여러 가지 타법이 존재합니다. 아래 내용을 통해 여러 가지 쇼트에 대해 알아봅시다.
쇼트(short)의 기본
쇼트(short)를 마스터 하면, 연계가 잘 되고 시합 운영이 대단히 익숙해집니다. 한 걸음 나아가서 공격적 쇼트를 몸에 붙이면 작전에 크게 기여하게 됩니다. 쇼트의 포인트는 라켓의 각도를 바꾸지 않고 정점을 잡아서 미트를 중심으로 하여 돌리는 것입니다. 프리 핸드의 무릎을 90도로 구부려서 앞에서 뒤로 당기는 반동을 사용하여 라켓을 밀어내면 리드미컬하게 나갑니다. 볼은 신체의 정면에서 잡도록 잘 움직여 봅시다. 타이밍을 잡으면 의외로 쉽게 쳐 집니다.
미들 쇼트 (middle short)
그립(grip)은 엄지의 끝을 떼고, 라켓이 씌워지는 듯한 각도를 냅니다. 왼손의 팔꿈치를 90도로 구부려, 오른쪽 팔꿈치를 겨드랑이에 붙이고 나서 볼의 정점을 잡고, 왼발에서 오른발에 체중을 옮기면서 허리를 비틀고, 왼손을 당기면서 오른손으로 라켓의 각도를 바꾸지 못하도록 하고 밀어냅니다.
볼은 신체의 경사 앞에서 잡고, 라켓의 끝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립은 가볍게 쥐고, 칠 때에 힘을 줍니다.
손만으로 밀면 볼의 위력이나 스피드에 지는 수가 있습니다. 허리의 비틂, 왼손의 당김을 써서 밀고가는 습관을 붙이십시오. 쳤으면 즉시 되돌아오는 것도 중요합니다. 쇼트(short)는 멀리 날라기지 않으므로 반구도 빠른 피치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탁자 위에 마크를 붙이고 끊임없이 같은 곳으로 돌리는 연습을 해 나갑니다. 바운드의 고저나 너무 뛰는 것은 미는 힘보다 라켓의 각도를 일정하게 하는 것으로 정하고 나갑니다.
대(村) 드라이브 쇼트(drive short)
쇼트(short)에서는 왼발 앞이 원칙입니다만, 오른발 앞의 쇼트 타법(short stroke)도 몸에 익혀둘 필요가 있습니다. 그대로 백핸드를 휘두를 수가 있는 자세가 잡히기 때문입니다. 어느 쪽 자세든, 드라이브 (drive)로 공격 받았을 때는 그 드라이브의 위력을 그대로 상대에게 돌릴 작정으로 반구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드라이브의 바운드의 직후를 겨냥하고, 라켓의 각도를 언제나보다도 크게 뉘여서 댑니다. 그 위에 드라이브의 위력에 지지 않도록, 상체를 바운드의 위에 씌우는 느낌으로 덮쳐 누릅니다.
드라이브는 정점이나 그 후방에서 잡으면 스피드가 있고, 변화도 심하므로 미트 포인트를 놓치기 쉽습니다. 반발력이 상당히 있으므로, 바운드 직후라도 충분히 네트(net)를 넘어서 빠른 볼로 되돌아갑니다. 바운드의 직후의 각도를 붙여서 잘 겨누어 칠 작정으로 치게 되면, 의외로 위력있는 쇼트가 되는 것입니다.
푸시(push)성(性) 쇼트(short)
빠른 볼은 빨리, 늦은 볼은 늦게 되돌리고 가는 것이 안정된 쇼트(short)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되돌리면, 상대가 일부러 느리게 치고, 이쪽에 느린 쇼트를 내게 하고, 그 다음을 겨냥하고 스매시 해 옵니다. 그래서 느린 볼을 강하게 되돌리는 푸시성 쇼트가 개발 되었습니다.
중국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날카로운 볼을 더욱더 쇼트로 날카롭게 배가하여 돌리는 푸시성 쇼트까지 연구하였습니다. 이것은 반구일때, 허리를 예리하게 넣고 크게 비틀어, 몸전체를 사용해서 오른 팔을 힘껏 뻗는 타법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잘 움직여서 정면에서 잡는 것과, 되돌림을 빨리 해서 다음의 공에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 다. 처음에는 쉬운 미들 쇼트 (middle short)부터 연습을 시작하고 드라이브 성 볼에도 푸시가 걸려지게끔 해봅시다. 이것으로 코스를 따라 가면 빨리 되돌려져서 위력있는 공격이 됩니다. 어디까지나 허리의 비틂과 오른팔의 뻗음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익숙하지 않는 동안은 불안정이 되기쉽고 너무 다용하면 너무 거칠어집니다.
따라서 느린 볼을 되돌릴 때만 사용하고, 익숙해짐에 따라 빠른 볼에도 푸시를 걸게끔 자기의 기량에 맞춰 활용해야 합니다. 스매시의 힘이 약한 사람에게는 이것을 마스터할 것을 권합니다.
스톱 쇼트 (stop short)
푸시성 쇼트와는 역으로 일부러 느리게 돌려 보내는 타법이며, 이것은 상대가 중진이나 후진으로 물러 났을때, 전후를 흔들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충분히 움직여서 바운드의 직후를 잡고, 맞는 순간에 라켓을 당겨 스피드를 죽입니다. 바운드의 높이는 라켓의 각도로 조절하고 스피드를 없애고 탁상에서 투바운드 할 정도의 작은 반구를 겨냥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기가 잘 움직여서, 볼을 몸에 바싹 당겨놓지 않으면 실패합니다. 라켓을 밀어내거나 그립에 힘을 주면은 찬스볼이 됩니다.
여기까지 탁구 기술 중 쇼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쇼트 스트로크에 대해 궁금했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