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뜻이 무엇인지 그 의미해 대해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OTT 플랫폼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빠르게 커지고 있는 OTT 서비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OTT의 뜻 ]
OTT의 뜻은 "Over The Top"의 줄임말입니다.
여기서 Top이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셋톱박스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직역하면 "셋톱박스를 넘어서"라는 의미로
기존 케이블과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했던 통신 및 방송사가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하여 영화, 드라마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어떤 점이 기존 방송 통신과 다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게 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지 그 장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OTT 서비스의 장점 ]
기존 방송은 콘텐츠를 특정 시간에만 제공하는 일회성 콘텐츠이며 단방향성 서비스입니다.
반면에 OTT는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만큼 볼 수 있는
온디맨드(On-Demand) 방식입니다.
이는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게 되어 가능하게 된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TV로만 콘텐츠를 이용했던 것과 달리
PC 혹은 모바일을 이용하여 콘텐츠 소비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즉, 장소에 제한 없이 언제 어디서든 모바일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어떻게 해서 이렇게 급속도록 발전하게 되었는지
발달 배경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OTT 서비스의 발달 배경 ]
OTT 서비스는 코로나를 겪게 되면서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전 세계 사람들에게 확산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코로나로 인해 극장에 갈 수 없었고
이로 인해 영화사들은 극장이 아닌 OTT 서비스를 이용하여 영화를 개봉하게 되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외부 활동이 제한되고 사람들을 만나는 게 꺼려지면서
집안에서 여러 가지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이 자연스럽게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집안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재미있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니즈가 많아지게 되었고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OTT 서비스였습니다.
이제는 OTT 서비스가 여러 사람들에게 과거의 TV와 같이 생활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런 수요에 걸맞게 많은 OTT 서비스 플랫폼들이 생겨났습니다.
그렇다면 플랫폼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OTT 서비스 플랫폼의 종류 ]
OTT 플랫폼은 점점 다양해지고 있어 여러 플랫폼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크게 국내 서비스와 해외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국내 서비스는 티빙(TVING), 웨이브(wavve), 왓챠(WATCHA), 쿠팡플레이,
U+ 모바일 tv, Seezn 등이 있습니다.
해외 서비스는 넷플릭스, 아마존, 유튜브 프리미엄, 디즈니 플러스, APPLE TV 등이 있습니다.
현재 OTT 서비스는 미국 기업들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넷플릭스는 OTT 대표 기업으로 엄청난 성장을 거두었습니다.
전문가들로부터 "OTT 서비스의 표준을 제시했다"라는
평가를 받고 있을 정도로 많은 발전을 이루어냈습니다.
OTT 서비스가 다양해짐에 따라 플랫폼 간 경쟁으로 인해
다양한 미디어가 창작되고 높은 수준의 콘텐츠가 만들어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플랫폼 회사는 이용자를 늘리기 위해 인기 콘텐츠를 단독으로 서비스하게 되고
이는 사용자가 여러 인기 콘텐츠들을 보고자 한다면 하면
많은 OTT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부담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현재까지는 플랫폼 업체에서 많은 이용자를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몇 개의 서비스를 같이 이용해도 큰 부담이 없지만
앞으로 어떻게 구독 정책이 변화할지 주목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OTT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그 뜻과 의미가 어떤 것인지 알아봤으며
OTT 서비스의 발달 배경과 장점에 대해서도 얘기해봤습니다.
또한 여러 플랫폼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았습니다.
댓글